반응형
나는 코스피 저점을 볼때 신용공여 잔고를 확인한다.
그만큼 빚이 많다는 것은 버블이 있다는 것이다.
20년 3월 역사적 코로나 이후 우리나라 신용 잔고는 급속도로 늘어왔다.
21년 6월 그 결과 역사적 고점 코스피 3316, 코스닥 1062를 찍었다.
이때 신용잔고 전체 신용잔고 23.5조( 코스피 13조, 코스닥 10조)였다.
이후 신용으로 물을 타서 그런지 24조까지 늘었지만 결국 고점 탈환은 실패했다.
그때나 지금이나 무역수지는 별 차이없다.
그리고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코스피 PER은 최저 10까지 떨어지는 마법같은 나라 이기 때문에 현재 13도 안심할 수 없다.
KOSIS
kosis.kr
우리나라 주식은 내가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신용잔고다.
생각 같아선 신용잔고가 코로나 이전 10조 이하로 떨어졌으면 좋겠지만..
이 값은 우리나라 투자에 좋은 투자 지표로 보고 있다.
만약 신용잔고 15조 이하에 코스피 PER10~11까지 떨어진다면 진짜 저점이라고 생각된다.
진짜 15조가 깨지고 뉴노멀이 올 수도 있겠지만.. PER 10은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.
:::::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 Portal :::::
freesis.kofia.or.kr
반응형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미 관점 ) 역시.. 난 개미다. 250405 (1) | 2025.04.05 |
---|---|
개미 관점 ) 미국장 도박시장 이제 조정 시작인가 250404 (0) | 2025.04.04 |
2024-02-20 중국 LPR 5년 만기 3.95%로 인하 (0) | 2024.02.21 |
2024-02-06 중국 지준율 0.5%p 인하 (0) | 2024.02.06 |
2024-01-24 중국 부양책 나오는가? (0) | 2024.01.24 |